[Korean FE Article] NodeJS의 비동기 IO
소개
이 글에서는 지난 시리즈 글에 이어서 Node.js의 비동기 IO가 무엇인지와 작동 원리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.
블로킹/논블로킹의 관점에서 이러한 처리 방식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고, Node.js 내부 API들의 I/O 처리 방식 차이점도 함께 살펴보는 점에서 흥미로운 글입니다.
지난 글이 재밌으셨다면, 이번 글 또한 가볍게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 :)
목차
논블로킹 IO의 필요성 이해하기
Node.js에서의 논블로킹 IO
소켓 IO에서는 어떻게 처리될까요?
파일 IO 및 DNS 해석은 어떻게 처리될까요?
select, poll 그리고 epoll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기